2023년 4월 2주(4월 10일 기준) 전국 주간 아파트값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.17% 하락, 전셋값은 0.24% 하락
전주대비 하락폭 축소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

전주대비 하락폭 축소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
[전국:-0.17%]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은 지난주(-0.22%)보다 하락 폭 축소 수도권(0.25%→-0.17%)서울(-0.13%→-0.11%)및 지방(-0.20%→-0.17%)도 모두 하락 폭 축소(5대 광역시(-0.28%→-0.24%), 8개 도(-0.15%→-1~3%)세종(세종=0.07%)[서울:지속적으로 추이하고 있지만, 보는 요망되고 있는 강북구(-0.21%)은 차례동 구축이나 소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도봉구,-0.19%)은 창방 학동 쌍문동 장 반·쌍문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하락하는 등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.광진구(-0.19%)은 광장 자양동 크아은쟈은쟈양동)을 중심으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.-(강남 11구:-0.07%)송파(송파, 동작구(0.01%)은 혼조 선수가 보이는 가운데 일부 대단지를 중심, 매도자와 매수자 간 희망 가격 격차에 매물이 밀리면서 동구(-0.28%)은 한화(송현 송림동을 중심으로 부평구(-0.21%)는 일신 십정동의 구축을 중심으로 남동구(-0.14%)은 만주 간동을 중심으로 하락세 지속ㅇ[경기:-0.33%→-0.22%]-용인 처인(0.19%)은 개발 호재가 있는 난사·이동읍을 중심으로 수원 영통(0.05%)는 매탄·망포시 대산 단지(오산 인 삼동.38%)은 송챠은 우동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지속[5대 광역시:-0.28%→-0.24%]-(대구:-0.35%→-0.31%)중구(-0.42%)은 공급 물량의 영향이 있는 남산·대신동의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동구(-0.38%)는 신암·신서동의 구축을 중심으로 달서구(탈소그)은 상품의 적체로 월성·상인동을 중심으로 하락-(부산:-0.28%→-0.25%해운대구·송재 구축한다.07%]-일부 지역의 급매물이 바닥나면서 가격 상승세는 이어지는데, 상승폭 축소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동향

[전국:-0.24%]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지난주(-0.25%)보다 하락 폭 축소했다. 수도권(0.29%→-0.27%)서울(-0.24%→-0.20%)및 지방(-0.22%→-0.21%)이 모두 하락 폭 축소(5대 광역시(-0.33%→-0.29%), 8개 도(-0.14%→-0.15%)세종(0.01%→ 0.03%)이었다. ㅇ시·도별로는 세종(0.03%)은 상승, 울산(-0.38%)대구(-0.37%)경기(-0.31%)부산(-0.28%충남=-0.27%), 대전=-0.26%인천=-0.22%)서울(-0.20%), 전남=-0.17%)등은 하락했다.[수도권:-0.27%]서울 0.20%하락, 인천 0.22%하락 경기 0.31%하락[서울:-0.24%→-0.20%]-전반적 매물의 적체와 지역별 입주 예정 물량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 중이지만 일부 정착 조건 좋은 지역으로 이주 수요가 발생하는 매물 가격 상승하는 등 전체 하락폭은 축소-(강북 14구:-0.27%)도봉구(-0.40%)은 쉴 쌍 카도 쿠라동 구축 중심으로, 노원구(-1, 중계동)는 입주 예정 물량의 대부분이다.15%)관악구(-0.26%)은 봉천 신림동(본 전·신 림동 대단지를 중심으로 구로구(-0.22%)은 개봉 에러 고척동을 중심으로 서초구(-0.21%)는 서초 초천원 반포동을 중심으로 강서구(캉소그,-0.19%)은 마곡 노보루 마을동 마곡도우은쵸은동)신축 중심으로 하락세가 지속된다. [인천:-0.28%→-0.22%]-신규 물량 공급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이어지지만 계속 되지만 주요 지역을 중심. 남동구(남 돈쿠-0.39%)은 논현 만수동 논현·먼스동을 중심으로, 계양구(가 영-0.29%)은 병력 쪽 룡종동(변연하 밴·용정동-0.28%)은 윈난 나카야마 신흥동을 중심으로 하락.[경기:-0.32%→-0.31%]-수원 영통(수원· 연 집게, 0.04%)은 망포동 신축 중심으로 일부 상승세로 하락으로 상승 전환. 전반적으로 신규 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, 오산시(-0.91%)는 외 샤미센 카나이와 덩굴 쿠시동을 중심으로 고양 일산 서구(-0.85%)은 카사 토쿠지동을 중심으로 광주시(-0.60%)은 량벌 태전 역 히가시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안산 단원구(-0.58%)은 원곡 이 부동을 중심으로 하락[지방:-0.21%]5대 광역시 0.29%하락 8개도 0.15%상승, 세종시(-0.03%상승.28%)는 삼산·신정동의 구축을 중심으로 하락-(대구:-0.40%→-0.37%)서구(-0.60%)은 내도, 평리동의 구축을 중심으로 중구(-0.49%)은 남산·대봉동을 중심으로 달서구(-0.45%)은 월성·도원동을 중심으로 하락ㅇ[세종:0.01%→ 0.03%]-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유지하는, 오츠보·소담동을 중심으로 상승
[전국:-0.24%] 전국 주간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(-0.25%) 대비 하락폭 축소됐다. 수도권(0.29%→0.27%), 서울(0.24%→0.20%) 및 지방(0.22%→0.21%)은 모두 하락폭 축소(5대 광역시(0.33%→0.29%), 8개 도(-0.14%→0.15%), 세종(0.01%→0.03%))로 나타났다. ㅇ시도별로는 세종(0.03%)은 상승했고 울산(0.38%) 대구(0.37%) 경기(0.31%) 부산(0.28%) 충남(-0.27%) 대전(0.26%) 인천(-0.22%) 서울(-0.20%) 전남=0.17%) 등은 하락했다.[수도권:-0.27%] 서울 0.20% 하락, 인천 0.22% 하락, 경기 0.31% 하락 [서울:-0.24%→-0.20%] – 전반적인 매물 적체와 지역별 입주예정물량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 중이나 일부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으로의 이주수요가 발생해 매물가격 상승하는 등 전체 하락폭은 축소 – (강북 14구:-0.27%) 도봉구(-0.40%)는 휴무쌍문창동 구축 중심으로 노원구(-1, 중계동)는 입주예정물량 대부분이다.15%) 관악구(0.26%)는 봉천신림동 대단지를 중심으로, 구로구(0.22%)는 개봉오류 고척동을 중심으로, 서초구(0.21%)는 서초잠원반포동을 중심으로, 강서구(0.19%)는 마곡등촌동 신축 위주로 하락세가 지속된다. [인천:-0.28%→-0.22%] – 신규물량 공급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이어지지만 주요 지역을 중심. 남동구(0.39%)는 논현만수동을 중심으로, 계양구(0.29%)는 병방용종동(0.28%)은 운남중산신흥동을 중심으로 하락. [경기:-0.32%→-0.31%] – 수원 영통구(0.04%)는 망포동 신축 위주로 일부 상승세를 나타내 하락에서 상승 전환. 전반적으로 신규수요 감소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오산시(-0.91%)는 외삼미금암갈곶동을 중심으로, 고양 일산서구(-0.85%)는 가좌덕2동을 중심으로, 광주시(-0.60%)는 양벌태전역동 주요단지를 중심으로, 안산단원구(-0.58%)는 원곡선부동을 중심으로 하락[지방:-0.21%] 5대 광역시 0.29% 하락, 8개도 0.15% 상승, 세종시(-0.03% 상승했다.28%)는 삼산·신정동 구축을 중심으로 하락 -(대구:-0.40%→-0.37%) 서구(-0.60%)는 내당·평리동 구축을 중심으로, 중구(-0.49%)는 남산·대봉동을 중심으로, 달서구(-0.45%)는 월성·도원동 위주로 하락 ㅇ [세종:0.01%→0.03%] – 선호지역 위주로 상승세를 유지하다가 대평·소담동을 중심으로 상승


